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 안내 및 돌파 감염, 변이바이러스 발생 현황

카테고리 없음

by 꽃듕 2021. 8. 12. 04:37

본문

728x90
반응형
SMALL

1. 아스트라제네카 백신 1차 접종에 대한 2차 접종 안내

 

□ 지난 5~6월 동안 위탁의료기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1차접종60~74세 고령층, 취약시설 종사자, 항공승무원, 보건의료인, 사회 필수인력 등 약 820만여 명에 대한 2차 접종이 8월 12일(목)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다.

 

 ○ 이번2차 접종 대상자5월 27일(목)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1차 접종한 대상자로, 50세 이상 연령층은 1차 접종을 시행했던 위탁의료기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, 50세 미만 연령층화이자 백신으로 2차 접종이 시행될 예정이다.

 

 

 

2. 백신 접종 후 주의사항

 

 ○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 및 조치를 위하여 모든 접종 완료자는 예방접종 후 15~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,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 관찰이 필요하다.

 

 * 최소 15분간 관찰하되, 이전에 다른 원인(약, 음식, 주사행위 등)으로 중증 알레르기(예: 아나필락시스) 경험이 있는 경우는 30분 간 관찰

 

 ○ 접종 부위는 청결히 유지하고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며,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.

 

 ※ 어르신은 예방접종 후 증상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혼자 있지 않도록 다른 사람이 함께 있는 것을 권고함

 

 ○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발열, 피로감, 두통, 근육통, 메스꺼움ㆍ구토 등의 전신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나, 이러한 이상반응은 대부분 수일(3일) 내 증상이 사라진다.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수분을 섭취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.

 

 * 예방접종 후 발열이나 근육통 등 몸살 증상을 대비해 해열진통제를 사전에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. (하루 정도 복용)

 

 

 

3. 돌파 감염 발생 현황

 

<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사례 누적발생률>

 

1) 백신 종류별 권장 횟수 접종 후 14일 경과자
2) 접종 완료자(백신 종류별 권장 횟수 접종 후 14일 경과자) 10만 명당 확진자 수
3) 1,540명 중 변이 분석 완료 379명, 1,161명 분석 예정

 

○ 8월 5일 기준 국내 접종 완료자 6,516,203명 중 돌파 감염 추정 사례는 1,540명으로 접종자 10만 명당 23.6명이며, 백신 종류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- 340명(31.4명/10만 접종자), 화이자- 420명(12.2명/10만 접종자), 얀센- 746명(65.7명/10만 접종자), 교차접종- 34명(4명/10만 접종자)이었다.

 

 

 

4. 변이 바이러스 발생 현황

 

□ 현재까지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발생상황은 다음과 같다.

 

 ○ 최근 1주일간 변이 바이러스 분석률*은32.3%(국내 31.1%, 해외 59.5%)이다.

    * 분석률 = 기간 내 변이바이러스 분석 건수 / 기간 내 확진자 수

 

 ○  최근 1주 국내 감염 사례의 주요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75.6%로 전주 대비 8.0% 증가하였고, 델타형 변이*의 검출률73.1%로 전주 대비 11.6% 증가하였다.(8.7. 0시 기준)

 

 * 델타 변이:   

국내 61.5%(7월 4주) → 73.1%(8월 1주)

해외유입 91.6%(7월 4주)→94.7%(8월 1주)

 

 

< 국내 감염 주요 변이 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(8.7 기준) >

 

 - 최근 1주 추가 확인된 변이 바이러스는 2,641건으로, 20년 12월 이후 현재까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총 10,766건*

 

  * 총 10,766건(+2,641): 알파형 3,129명(+84), 베타형 148명(+0), 감마형 22명(+2), 델타형 7,467명(+2,555)

728x90
반응형
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