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
○ 모더나사, 8월 계획된 공급 물량(850만 회분)보다 절반 이하인 백신 물량 공급 예정
- 백신 공급 문제는 전 세계적인 것이며, 공급 차질에 대해 사과, 한국에 약속된 물량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
○ 정부는 백신 공급의 안정성 확보 및 다양한 방안 모색 노력
<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(21.8.9. 기준, 단위: 회분) >
2. 8월-9월 접종계획
□ 모더나 백신 공급 상황의 불확실성을 반영해 mRNA 백신 접종 간격을 불가피하게 한시적으로 6주까지 연장하여 적용할 예정이다.
○ 그 외 현재 사전예약에 따라 접종이 진행 중인 50대 연령층 접종과 지자체 자율접종(3회 차) 등은 당초 일정에 따라 차질 없이 추진하고, 18-49세 연령층 예약도 8월 9일 20시부터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.
○ 모더나 백신 공급 상황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8월 16일(월)부터 mRNA 백신 2차 접종이 예정되어 있는 분들은 1차 접종일로부터 6주 간격으로 접종 간격이 조정되며, 이는 한시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.
○ 고3 학생 및 고교 교직원과, 기타 대입 수험생(n수생, 학교 밖 청소년 중 수험생 등)의 경우에는 기존 접종 간격을 유지하여 수능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하고, 입영장병의 경우에도 입대일자 등을 고려하여 기존 간격 유지
○ 교육·보육 종사자*는 2학기 개학을 앞두고 최대한 빨리 접종받으실 수 있도록 5주 간격으로 조정할 계획이다.
* 어린이집, 유치원, 초·중등 교직원
○ 일괄 변경된 2차 접종일정은 이번 주 중 대상자에게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.
□ [50대 연령층 접종]
- 현재 진행 중인 50대 연령층(1962.1.1.~ 1971.12.31. 출생)의 1차 접종은 예약하신 일정에 따라 8월 28일까지 차질 없이 추진한다.
○ 8월 셋째 주(8.16.~22.)에 시행되는 접종은 서울·경기·인천 등 수도권 지역 위탁의료기관에서는 화이자 백신으로, 그 밖의 비수도권 지역 위탁의료기관은 모더나 백신으로 시행한다.
* 단, 수도권 지역 중 모더나 백신만 접종하는 위탁의료기관(189개소)은 모더나 백신, 그 외 지역 중 화이자 백신만 접종하는 위탁의료기관(278개소)은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
○ 또한, 예방접종센터의 경우는 지역에 관계없이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이 실시된다.
○ 8월 셋째 주에 예방접종 일정이 예정되어 있는 분들께는 접종일 전에 백신 종류 등을 문자로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.
□ [지자체 자율접종(18-49세 우선접종)]
- 8.3(화)~8.6(금) 일까지 사전예약을 진행한 지자체 자율접종(3회 차)도 당초 접종일정(8.17~9.11)에 따라 차질 없이 추진한다.
○ 총 133.5만 명이 사전예약을 완료하였으며, 8월 17일(화)부터 전국의 예방접종센터에서 화이자 백신으로 시행된다.
□ [18-49세 연령층 사전예약]
- 8월 9일 20시부터 18-49세 연령층 대상 사전예약이 시작된다.
○ 10부제로 나누어 진행하는 사전예약은, 8월 9일(월) 20시부터 8월 19일(목) 18시까지 진행되며, 날짜별 예약 가능한 대상은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끝자리를 기준으로 정해진다.
<18~49세 10부제 사전예약 일정 >
예) 8월 9일 20시부터 8월 10일 18시까지는 18-49세 연령층 중 생년월일 끝자리가 9인 분을 대상으로 실시한다.
<10부제 이후 연령대별 사전예약 일정>
○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 이번 예약부터는 본인인증을 먼저 한 후 예약 대기를 거쳐 예약하게 되며, 네이버, 카카오, PASS 등을 통해 적어도 예약 하루 전 간편 인증서를 미리 발급받아 두면 예약 당일 별도의 지체 없이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.
○ 백신 공급 상황이 유동적이어서 추후 백신 수급 일정에 변동이 있는 경우 예약하신 날짜의 접종일정 또는백신 종류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,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는 신속하게 안내해 드릴 예정이다.
□ [잔여백신 예약 대상 확대]
- 백신 접종을 이미 예약한 사람도 8월 16일(월)부터는 SNS 당일 신속 예약 서비스를 활용하여 잔여백신으로 접종받을 수 있게 된다. 당일 잔여 백신 접종을 예약할 경우, 기존의 백신 예약은 자동적으로 취소된다.
댓글 영역